라벨이 DSM DHCP인 게시물 표시

무선 브리지를 활용한 NAS 연결 – 데스크탑과 같은 방식으로 가능한가요?

이미지
NAS(Network Attached Storage)는 일반적으로 유선 LAN 환경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장비입니다. 그러나 실내 구조상 공유기와 직접 유선으로 연결이 어려운 경우, ‘무선 인터넷 브리지’를 활용하는 방법이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사용하는 방식 중 하나가 데스크탑 컴퓨터에 무선 브리지를 설치해 유선 포트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형태인데, 이 방식이 NAS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많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예. NAS는 무선 브리지 장치에 유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충분히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으며, 데스크탑에서 사용하는 방식과 완전히 동일한 원리로 작동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그 원리와 구성 방법, 주의할 점, 추천 환경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NAS 무선 연결의 기본 구조 이해하기 NAS는 기본적으로 무선(Wi-Fi)을 직접 수신하지 못합니다. 대신, '무선 브리지'라는 장치를 통해 무선 신호를 받아서 유선으로 전달해주는 구조를 사용하면 NAS도 마치 유선으로 연결된 것처럼 작동합니다. 즉, 아래와 같은 구성입니다: NAS → LAN 케이블 → 무선 브리지 장치 → Wi-Fi → 공유기 이와 같은 방식은 데스크탑에서 사용하는 무선 브리지와 100% 동일한 원리이며, NAS 역시 이 구조를 통해 네트워크에 정상적으로 연결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어떤 브리지 장치를 사용해야 할까? 무선 브리지는 단순 리피터와는 다르게 LAN 포트를 통해 유선 장치에 인터넷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 NAS 연결을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선 LAN 포트 가 있는 무선 리피터 또는 브리지 기능이 있는 공유기 5GHz 듀얼밴드 지원 으로 고속 전송 가능 브리지 모드 또는 AP 모드 전환 가능 예: TP-Link RE450, AS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