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헌혈인 게시물 표시

알고 보면 생명선! 혈액형과 수혈의 모든 것

이미지
수혈은 생명을 살리는 중요한 의료 행위입니다. 사고나 수술, 혈액질환 등 다양한 상황에서 꼭 필요하죠. 그런데 혈액형이 맞지 않으면 수혈이 오히려 위험할 수도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혈액형의 개념부터 수혈의 원리, 그리고 혈액형별 수혈 가능 여부까지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혈액형이란? 혈액형은 혈액 속 적혈구의 표면에 있는 항원의 종류에 따라 구분됩니다. 가장 많이 알려진 시스템은 바로 ABO 혈액형 시스템입니다. A형: A항원 보유, B항체 존재 B형: B항원 보유, A항체 존재 AB형: A와 B항원 모두 보유, 항체 없음 O형: 항원 없음, A와 B 항체 모두 존재 이 외에도 Rh(레서스) 인자에 따라 양성(+)과 음성(-)으로 나뉘어 총 8가지 혈액형이 존재합니다.     수혈이란? 수혈은 혈액이나 혈액의 구성 성분(적혈구, 혈장 등)을 다른 사람에게 주입하여 생명을 유지하거나 회복하는 의료 행위입니다. 단, 수혈에는 '혈액형의 일치'가 매우 중요합니다. 맞지 않는 혈액형을 수혈할 경우 심각한 면역 반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혈액형별 수혈 관계 아래는 기본적인 수혈 관계를 쉽게 정리한 표입니다. A형: A형, O형 혈액 수혈 가능 B형: B형, O형 혈액 수혈 가능 AB형: A형, B형, AB형, O형 모두 가능 (만능 수혈자) O형: O형만 수혈 가능 (하지만 모든 혈액형에 수혈 가능, 만능 공혈자) 여기에 Rh 인자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Rh+는 Rh+ 또는 Rh- 둘 다 수혈 가능 Rh-는 Rh-만 수혈 가능 즉, O형 Rh-는 이론적으로 모든 혈액형에 수혈 가능한 완전한 만능 공혈자 입니다. 잘못된 수혈이 일으킬 수 있는 위험 혈액형이 맞지 않는 혈액을 수혈하면 면역 체계가 이를 '외부 침입자'로 인식하여 공격합니다. 이로 인해 심한 경우 다음과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급성 용혈 반응 (빈혈, 발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