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난징조약인 게시물 표시

홍콩의 역사 – 할양과 조차 개념을 중심으로

이미지
홍콩(香港)은 아시아의 대표적인 국제도시로, 중국과 영국 간의 역사적 관계 속에서 특별한 지위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특히 할양(割让) 과 조차(租借) 라는 개념이 홍콩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홍콩이 영국에 할양되고, 이후 조차되면서 현대 홍콩이 형성된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1. 홍콩 할양(割让) – 영국의 식민지로 편입 ① 아편전쟁과 난징조약(南京条约, Treaty of Nanking) 1840~1842년 제1차 아편전쟁(鸦片战争)에서 영국이 승리. 1842년 난징조약(南京条约) 체결로 홍콩 섬이 영국에 영구 할양(割让)됨. 이는 중국이 서구 열강에 영토를 할양한 첫 사례로, 반식민지 시대의 시작을 의미.     ② 베이징조약(北京条约, Convention of Peking) 1856~1860년 제2차 아편전쟁(第二次鸦片战争) 이후, 영국은 추가적인 영토 요구. 1860년 베이징조약(北京条约)을 통해 주룽반도(九龙半岛, Kowloon Peninsula) 남부가 영국에 영구 할양됨. 2. 홍콩 조차(租借) – 신계(New Territories)의 99년 임대 ① 1898년 전쟁 없는 영토 확장 – 전홍조약(展拓香港界址專條, Convention for the Extension of Hong Kong Territory) 영국은 홍콩과 주룽반도 외에 추가적인 군사·경제적 거점을 원함. 청나라(清朝)와의 협상 끝에 1898년 신계(新界, New Territories)를 99년간 조차(租借) 하는 조약 체결. 기간: 1898년 7월 1일 ~ 1997년 6월 30일. 이는 할양과 달리 영구적인 영토 변동이 아닌 일정 기간 동안 빌려 쓰는 개념 . 3. 홍콩 반환(香港回归) – 1997년 중국의 주권 회복 ① 중영공동성명(中英联合声明, Sino-British Joint Declaration) 1984년 영국과 중국이 협상을 통해 홍콩 반환에 합의. 홍콩 전체(...